728x90
반응형
연금저축펀드 가입하려고 하는데 너무 복잡하고 이벤트도 많아서 고민하다가 정리를 해보았습니다.
📌 연금저축펀드 가입처 비교
연금저축펀드는 ① 은행, ② 증권사, ③ 보험사에서 가입가능.
각각의 장단점은?
** 주요 증권사 연금저축펀드 수수료 비교
증권사 온라인 거래 수수료 오프라인 거래 수수료
키움증권 | 0.015% | - |
미래에셋증권 | 0.014% | 0.49% |
한국투자증권 | 0.014% | 0.0497% |
NH투자증권 | 0.01% (모바일 전용) | 0.4972% |
삼성증권 | 0.1472% + 1,500원 | 0.4972% |
KB증권 | 0.12% (모바일) | 0.4973% |
신한투자증권 | 0.1897% (모바일) | 0.4997% |
하나증권 | 0.0142% | 0.4973% |
이베스트투자증권 | 0.015% | 0.48% |
참고: 상기 수수료율은 2023년 1월 22일 기준
🏦 운용보수 vs. 수수료 차이점
구분 운용보수 수수료
정의 | 펀드를 운용하는 자산운용사에게 지급하는 비용 | 펀드 가입·환매·거래 시 금융사(증권사, 은행 등)에 내는 비용 |
부과 방식 | 매일 조금씩 펀드 자산에서 차감됨 (투자자가 직접 납부 X) | 선취/후취/환매 시 투자자가 직접 부담 |
종류 | 운용보수, 판매보수, 수탁보수 | 선취 수수료, 후취 수수료, 거래 수수료 등 |
투자자가인지 여부 | 펀드 기준가(NAV)에 포함됨 (눈에 안 보임) | 계좌에서 직접 빠짐 (눈에 보임) |
- 운용보수: 펀드를 운용하는 자산운용사에 지급하는 비용
- 판매보수: 펀드를 판매한 금융기관(증권사, 은행 등)에 지급하는 비용
- 수탁보수: 펀드 자산을 보관·관리하는 수탁기관에 지급하는 비용
📌 추천 가입처 (2024년 기준)
✅ 공격적 투자 (고수익 목표) → 증권사
- 미래에셋증권: 연금펀드 다양, 수수료 저렴
- 키움증권: 온라인 ETF 매매 수수료 0.01%
- 한국투자증권: 다양한 해외펀드 가능
✅ 안정적인 투자 (저위험·중위험) → 은행
- 국민은행: 안정적인 채권형 연금저축펀드 운영
- 신한은행: 절세 혜택과 함께 보수적인 운용 가능
- 우리은행: 중립적인 투자 전략 제공
✅ 원금 보장 & 연금 지급 안정성 → 보험사
- 삼성생명: 변액연금보험과 연금저축보험 다양
- 교보생명: 연금 개시 후 종신 지급 옵션
- 한화생명: 중장기 안정적인 연금 운영 가능
📌 결론: 어디서 가입하면 좋을까?
✔ "나는 높은 수익을 원해!" 👉 증권사 추천 (미래에셋, 키움, 한국투자)
✔ "안전하게 운영하고 싶어!" 👉 은행 추천 (국민, 신한, 우리)
✔ "노후 연금이 중요해!" 👉 보험사 추천 (삼성생명, 교보생명)
💡 개인적인 추천:
증권사에서 수수료가 저렴한 온라인 ETF 중심으로 투자하는 게 가장 유리해.
👉 미래에셋/키움증권에서 연금저축계좌 개설 + ETF 투자 조합이 인기 많음!
728x90
반응형